고흐의 대청마루/세상 알아가기!

2022 부동산 정책 Summary

전고흐 2022. 8. 17. 21:10
728x90

 

220816(석간)_국민_주거안정_실현방안_발표(주택공급TF_등).pdf
0.53MB

 

(안건)_국민_주거안정_실현방안.hwp
8.05MB

 

 

추진전략 1.

1) 재개발/재건축 사업 정상화 착수

  - 5년간('23~'27) 전국 22만호, 서울 10만호

  - 재건축 부담금 감면(9월 세부 감면(안) 발표 예정)

  - 신탁사 사업시행자 지정 요건 완화 / 정비계획과 사업시행계획 통합 처리

2) 도심복합사업 개편

  - 민간전문기관(신탁사, 리츠 등) 사업 주체 가능 제도 신설('22.12) / '23 상반기 중 공모 착수 -> 20만호 이상(기존 공공 포함)

 

추진전략 2.

1) 우수 입지 공공택지 조성 확대

  - '23까지 15만호 내외 신규 택지 후보지 발굴(10월 부 순차 발표)

  -  기존 3기 신도시 중 GTX 정차지구(고양창릉, 남양주왕숙)에 Compact-city 컨셉 시범적용(역 중심 방사형 밀도 상승) 

2) 신도시 정주환경 개선

  - 3기 신도시 GTX-A 조기개통('24.6이전) / B, C노선 조기착공 / 도첨산단 중복지정('23 하) / 개발밀도 확대

  - 2기 신도시 광역버스 신설, 출퇴근 전세버스 투입, 광역교통축 지정 등 (8월 전수조사 / 9월 대책 마련)

  - 1기 신도시 도시 재창조 수준의 재정비 마스터플랜 수립('24)

  - 지방권 : 메가 시티를 중심으로 광역철도 선도 사업과 방사형 순환도로망 구축 가속화

3) 지방 주거환경 개선

4) 재해취약주택 해소대책 마련

  - 반지하, 고시원 등 재해취약주택에 대해 연구 용역과 재해취약주택 및 거주자 실태조사 착수(9월 부)

  - 재해취약주택 우선매입 후 공공임대로 리모델링, 지하층은 커뮤니티 시설 등으로 용도 변경

  - 비정상거처 거주자 우선공급 확대

 

추진전략 3.

1) 주택사업 인허가 절차 개선

  - 통합 심의(각종 심의 및 영향평가 통합)를 민간 정비 및 도시개발사업에 도입, 공공정비와 일반 주택사업도 의무화하여 공급 기간 단축

  - 주택법, 도정법, 공공주택법, 학교용지법 '22 하 개정

2) 소규모사업 추진 애로요인 해수

  - 단일 공동주택 단지에서만 추진가능한 소규모 재건축을 연접 복수단지에도 허용

  - 소규모정비법, 광역교통법 '22 하 개정

3) 주택공급 촉진지역 제도 도입 검토

  - 지자체,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반영하여 '23 1분기 도입여부 결정

 

추진전략 4.

1) 청년원가/역세권 첫집 공급 추진

  - 50만호 / 분양가 시세보다 저렴, 건설원가 수준인 70% 정도로 측정

  - 의무 거주기간 5년, 이후 공공 환매가능(환매시 시세차익 30%는 공공 귀속)

  - 청년주거지원 종합대책 9월 중 발표

2) 임대/분양을 혼합한 민간분양 추택 신모델 도입(가칭 '내집마련 리츠')

  - 분양가의 절반으로 최대 10년간 임대거주 이후 분양 전환시 감정가로 납부(공급주체: 민간 리츠)

  - 민간임대특별법 개정 및 시범사업 택지 공모 '22 하

3) 토지임대부 주택 제도 개선

  - 주택법 개정 '22 하

 

추진전략 5.

1) 층간소음에 강한 주택 확대

  - 바닥두께 강화시 분양가 가산 인센티브, 소음저감 매트 설치 지원

2) 주차 편의 제고 및 공간 활용 용이성 확보

  - 주차 편의 주택 공급시 추가 비용은 분양가에 가산(품질향상 가산비 기준 '22 하 개정)

  - '25 까지 충전 콘센트 설치기준을 주차면수의 10%로 단계적 확대(주택건설기준 '22 하 개정)

3) 공공임대주택 혁신

  - 공공임대주택 공급계획 마련 '22 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