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의 연구실/Network

[Network] IP에 대해서 알아보자!!

전고흐 2020. 7. 19. 01:34
728x90

오늘은 IP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알아볼 내용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IP Class
2. IP 서브넷이란? (서브넷팅의 개념과 방법)
3. Public IP와 Private IP의 차이

1. IP Class란?

 - IP주소의 class라는 개념을 알게된다면, 네트워크 주소의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이해할 수 있다.

 - IP Class는 총 5개의 클래스로 구분된다.(A~Eclass)

 - Class로 나누어진건 네트워크의 크기에 따른 구분이다. 하나의 네트워크가 호스트의 주소 범위를 몇개까지 이용하는가에 따라서 클래스가 나누어 진다.

 

 1) A class

    - 하나의 네트워크가 가질 수 있는 호스트 수가 가장 많은 클래스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한다.

    - IP 주소 32개의 자리 중에서 맨 앞부분이 '0'인 경우

    -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0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1옥텟      2옥텟      3옥텟     4옥텟

    - 0.0.0.0 ~ 127.255.255.255

    - defualt subnetmask : 255.0.0.0

    - Aclass 에서는 1옥텟 부분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고 나머지 부분은 호스트 부분이다.

    - Aclass에서 네트워크 주소는 가장 작은 네트워크인 1.0.0.0에서 가장 큰 126.0.0.0까지로 규정한다.

      0.0.0.0과 127.0.0.0은 제외이다.(약속)

 2) B class

    - 중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

    - B클래스는 이진수 10으로 시작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 128.0.0.0 ~ 191.255.255.255

    - default subnetmask : 255.255.0.0

    - Bclass 에서는 1, 2옥텟 부분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고 나머지 부분은 호스트 부분이다.

 3) C class

    -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

    - C클래스는 이진수 110으로 시작

    - 1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10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 192.0.0.0 ~ 223.255.255.255

    - defualt subnetmask : 255.255.255.0

    - Cclass 에서는 1, 2, 3옥텟 부분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고 나머지 부분은 호스트 부분이다.

 4) D class

    - IP 멀티캐스트를 위해 사용

    - D클래스는 이진수 1110으로 시작

 5) E class

    - 예비..?

    - E클래스는 이진수 1111로 시작

 

 

2. IP 서브넷이란? (서브넷팅의 개념과 방법)

 1) 서브넷팅의 개념

    -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

    - 너무 큰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패킷전송을 느리게하고 성능 저하를 발생

    - 반대개념 : 슈퍼네팅

    - 하나의 네트워크(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있는 IP간 통신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영역이 같아야 함.

      네트워크 영역이 다를 때에는 라우터나 게이트웨이 같은 통신장비를 통해 통신함

 2) 서브넷팅 방법

    - 예1) 192.168.0.1/24 라고 한다면,

    - subnet mask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255.255.255.0)이다.

      ip 뒤에붙은 '/24'는 서브넷마스크의 1의 갯수를 뜻한다.

    - 분할없이 전체를 사용하겠다는 뜻.

    - 예2) 192.168.0.1/27 라고 하면,

    - subnet mask :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255.255.255.224)

    - 255개를 32개로 쪼개서 8등분해서 사용.

    - 2^3 = 8개로 등분

 

 

3. Public IP와 Private IP의 차이

 1) Public IP(공인 ip)

    - 인터넷상에 하나 밖에 없는 IP로 그 번호밖에 없는 유일한 IP

    - 공인 IP는 각 나라의 관할 기관에서 할당받아야 사용 가능

    - 홈 LAN에서는 서버가 하나의 공인 IP를 할당받아서 프로그램 등을 통해 여러 컴퓨터가 나눠쓰는 방식으로 사용.

 

 2) Private IP(사설 ip)

    - 인터넷상에서 확인할 수 없고,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한 IP

    - 사설 IP는 홈 LAN이나 회사 내부에서 마음대로 사요 가능

    - 사설 IP주소는 전체 IP주소를 관리하는 IANA가 사설 네트워크를 위해 미리 확보해둔 것

    - 내부에서 임의적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IP주소가 외부로 나갈 때는 NAT를 거쳐 규정된 공인 IP주소로 변환되어 나감.

 

 

 

잘못된 부분이나, 추가해야 할 부분은 언제든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