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에 입문했다.
Git Hub User!!
생각보다 기능이 많아서 계속 알아가는 중이며, 알게되면 추가하겠음.
최대한 쉽게쉽게.
일단 가입을 하고 로그인을 한다.
파일을 올리려면 제일먼저 해야하는 것!
Repository 생성!
이거는 클릭 몇번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생성과정에서 public/private 설정)
그리고는 그 리파지토리에 들어가서 주소를 복사한다.
리눅스로 이동하여,
git clone http://github.com/id/repository
이런식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리파지토리명으로 디렉터리가 생긴다.
들어가보면 git의 모든 내용이!!!!!
그리고 문서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올릴때는
git add 문서명
이렇게 해준다.
ex) git add a.c b.c test.c Makefile
>> a.c와 b.c와 test.c와 Makefile 을 add한다.
이렇게 다 써줘도 되고 하나씩 해도 된다.
나는 git add * 이거를 많이쓴다..
그다음은 커밋을 해준다.
git commit -m "메세지"
메세지 부분은 본인이 알아보게끔 작성!
이후엔 push를 해준다.
git push origin master
>> master파일에 바로 올린다.(브런치 생성 안했고 안할경우에 사용)
그럼 끝이다!
깃헙에 가보면 업로드가 되어있을거다!!!
[git 기본설정-Linux]
vim ~/.gitconfig
name = id입력
email = email입력
or
git config --global user.name "id입력"
git config --global user.email email입력
ㅇ기존 디렉터리를 git과 연동하기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
https://learngitbranching.js.org/?locale=ko
Learn Git Branching
An interactive Git visualization tool to educate and challenge!
learngitbranching.js.org
>연습해볼 수 있음
.gitignore 사용 참고
'고흐의 연구실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해킹] CSRF 공격 총정리! (0) | 2020.09.07 |
---|---|
[웹 해킹] DVWA 설치 및 사용법(작성중) (0) | 2020.09.05 |
[Hadoop] wordcount 실습하기(초간단) (0) | 2020.08.12 |
[Docker] 도커허브(docker hub) 사용법 (0) | 2020.08.05 |
[Docker] 도커 사용법 정리 (0) | 2020.08.05 |